유니크샤인 2025. 3. 6. 21:07

웹 구조 파악하기

Figma의 구조
Figma의 레이어 패널

Figma의 레이어는 HTML 구조라고 보면 된다.

레이어에 있는 레이어 이름을 클래스네임으로 쓰면 된다.

Figma의 Design 패널

Figma의 Design 패널은 CSS라고 보면 된다.

Figma의 Frame 패널

- Frame 패널

X,Y: Position,  Lock aspect ratio: 비율 잠금, 비율 유지,  W: width, H: Height, Fill: 색상 채우기

Hug container : 자식 또는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크기 결정

fill container : 부모 따라감

Figma의 Auto Layout

Auto Layout -> display: flex;

Auto Layout은 9군데 중 한 군데에 배치할 수 있다.

padding: 자신 박스 안의 여백, margin: 나와 옆 박스와의 간격

align-items : 가로 세 줄로 정렬 (위,중간,아래)

justif-content : 세로 세 줄로 정렬 (좌,중간,우)

Auto Layout이 걸려있다는 소리는 Position: relative 와 같고 또한 Frame 패널에서 Absolute Position을 사용할 수 있다.

CSS 속성별 설명 및 값 입력 방법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A-1 유형</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
    <!-- <script src="javascript/script.js"></script> -->
  </head>
  <body>
    <div class="wrap">
      <header class="header">
        <a href="#" class="logo">JUST 쇼핑몰</a>
        <nav class="menu">
          <ul class="navi">
            <li>
              <a href="#">탑</a>
              <ul class="submenu">
                <li><a href="#">블라우스</a></li>
                <li><a href="#">티</a></li>
                <li><a href="#">셔츠</a></li>
                <li><a href="#">니트</a></li>
              </ul>
            </li>
            <li>
              <a href="#">아우터</a>
              <ul class="submenu">
                <li><a href="#">자켓</a></li>
                <li><a href="#">코트</a></li>
                <li><a href="#">가디건</a></li>
                <li><a href="#">머플러</a></li>
              </ul>
            </li>
            <li>
              <a href="#">팬츠</a>
              <ul class="submenu">
                <li><a href="#">청바지</a></li>
                <li><a href="#">짧은바지</a></li>
                <li><a href="#">긴바지</a></li>
                <li><a href="#">레깅스</a></li>
              </ul>
            </li>
            <li>
              <a href="#">악세서리</a>
              <ul class="submenu">
                <li><a href="#">귀고리</a></li>
                <li><a href="#">목걸이</a></li>
                <li><a href="#">반지</a></li>
                <li><a href="#">팔찌</a></li>
              </ul>
            </li>
          </ul>
        </nav>
      </header>

      <main class="main">메인 영역입니다.</main>

      <footer class="footer">푸터 영역입니다.</footer>
    </div>
  </body>
</html>

index.html

 

/* 기본 스타일 초기화 */
* {
  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
ul,
ol {
  list-style: none;
}

.wrap {
  width: 1200px;
  height: 700px;
  background-color: #ddd;
  margin: 0 auto;
}
.header {
  position: relative;
  width: 100%;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aqua;
  display: flex;
}
.logo {
  position: relative;
  width: 200px;
  height: 100%;
  background-color: yellow;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font-size: 24px;
}
.menu {
  position: relative;
  width: 1000px;
  height: 100%;
  background-color: rgb(170, 171, 230);
  display: flex;
  justify-content: flex-end;
  align-items: center;
  padding-right: 30px;
}
.navi {
  position: relative;
  display: flex;
}
.navi > li {
  position: relative;
}
.navi > li > a {
  display: block;
  width: 150px;
  height: 40px;
  font-size: 20px;
  text-align: center;
  line-height: 40px;
  background-color: #dcadad;
}

.submenu {
  position: absolute;
  top: 40px;
  left: 0;
  /* display: none; */
}
.submenu li {
}
.submenu li a {
  display: block;
  width: 150px;
  height: 40px;
  font-size: 18px;
  line-height: 40px;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 #cddcad;
}

.main {
  width: 100%;
  height: 500px;
  background-color: bisque;
}
.footer {
  width: 100%;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violet;
}

style.css

a  태그에 크기를 지정할 수 없으나, display:block을 설정하면 사용 가능하다.

 

# 1. 자바스크립트 코드 작성 위치

- js-location.html
- javascript/jsLocation.js

## 1.1 자바스크립트 콘솔

### 1.1.1 console

- console.html

# 2. 데이터 형과 연산자

## 2.1 variable(변수)

- variable.html

### 2.1.1 변수란?

- 데이터가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는 주소
-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한다.

### 2.1.2 키워드

- var 이제 잘 안씀
- let
- const 상수

### 2.1.3 변수 네이밍 규칙

- 변수 이름에는 영어, 숫자, 밑줄, $ 사용
-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 대소문자 구분, 카멜케이스 사용이 일반적

## 2.2 자료형(data type)

- 숫자(number)
- 문자열(string)
- 부울(boolean)
- Null
- Undefined
- 객체(object)
- 그외...Bigint, 심볼(symbol)

### 2.2.1 숫자(number)

- number.html
- 정수(integer)
- 소수점이 있는 부동소수점 숫자(floating point number)

### 2.2.2 문자열(string)

- string.html
- 하나 이상의 문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
- 문자열에서는 문자들을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로 감싸야한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숫자 데이터 number</title>
  </head>
  <body>
    <script>
      const a = 3; // 정수(integer)
      const b = 5.7; // 부동 소수점 숫자(floating point number)
      const c = 123e3; //123000
      console.log(c);
      const d = 123e-3; // 0.123
      console.log(d);
    </script>
  </body>
</html>

데이터 종류가 숫자만 적혀있으면 숫자(number) 자료형이다.

const c= 123e3; // 0이 3개다.
const d= 123e-3; // 소수점 세 자리

만약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로 감싸있으면 문자열(string) 자료형이다.